그것이 궁금하다?/4차 산업혁명

무인 항공기(드론) 사례

오리여행 2022. 2. 27. 11:46

무인항공기 또는 드론은 실제 조종사가 직접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사전 프로그램된 경로에 따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날아가는 비행체이다. 수중에서 활동하는 무인 잠수정 또는 수중 드론도 있다.

 

 

무인 항공기 사례

 

1. 화물 수송

2. 농작물 방제

3. 항만 관리

4. 기타

 

 

1. 화물 수송

  • 드론을 활용하여 접근하기 힘든 곳에 물품 전달

드론은 인간이 접근하기 힘든 곳에 약, 약물 샘플, 공적 마스크 등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드론을 상업적 용도로 쓰기 위한 시도는 FAA의 규제로 인해 실패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두산 모빌리티 이노베이션은 코로나19 범유행과 관련하여 약국과 우체국이 없어 공적 마스크를 살 수 없는 가파도, 마라도, 비양도 주민들을 위해 수소 드론을 활용해 공적 마스크를 배송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비가시권 비행을 위해 국토교통부에 드론 특별 비행 승인을 신청하며 국토교통부의 긴급 특별 비행 승인에 대한 협조를 얻었다.

 

 

 

2. 농작물 방제

  • 농가에 약제 뿌리는데 사용

무인항공기의 민수용 사용의 효시는 사실상 일본 야마하 모토의 농업용 무인헬기라 할 수 있다. 또한, 2016년 가장 많은 농업 방제용 드론의 활용의 세계 최대 업체인 중국 ZOOMLION의 ZLion 방제용 드론으로서 약 3500대 이상이 방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후 액제, 입제, 분제를 살포할 수 있는 다용도 무인 멀티콥터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세계 최대 상업용 드론 제조업체인 중국 DJI는 2015년 11월 27일에 농가에서 약제를 뿌리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농업용 드론 '애그리 MG-1'을 공개했다.

 

 

 

3. 항만 관리

  • 드론을 이용해 3차원으로 관리

'드론 3D 모델링'은 자율주행 드론이 촬영한 성과물을 사진측량 소프트웨어로 3차원화 해서 해당 지역을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넓이와 부피 등 각종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인천항만공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스마트 항만 조성을 선도하고 효율적인 항만운영과 건설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3차원 모델링을 구축해 항만관리 업무에 활용한다.

 

 

 

4. 기타

  • 드론을 활용하면 신속하게 산불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 마약류 제조원료가 되는 양귀비 · 대마를 몰래 재배하는 행위를 단속할 때 활용한다.
  • 해저 드론은 해상 풍력발전 시설이나 해저 송유관 점검 등을 위해 활용된다.

 

반응형

'그것이 궁금하다? > 4차 산업혁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물인터넷 사례  (0) 2022.02.19
인공지능 사례  (0) 2022.02.12
빅데이터 활용 사례  (0) 2022.02.11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0) 2022.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