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전기전자 24

전력의 정의와 단위

1. 전력 전력은 1초 동안에 전기가 한 일, 즉 전기출력을 말한다. 전력의 기호는 P, 단위는 와트[W]를 사용한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전구나 전기장판, 커피포트 등 전기에 의한 가전제품은 전류가 저항체를 만나 기계적인 일을 하며 전력은 전압이나 전류가 클수록 크게 된다. * 와트란 무엇인가? 와트는 전력의 단위이다. 전원에서 나온 전자는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이 전자는 전류로서 회로를 움직여 여러 가지 형태로 가지고 있던 에너지를 쏟아낸 다음 힘없이 전원으로 돌아간다. 전류가 1초 동안 하는 일을 전력이라고 하고, 이렇듯 일정한 시간에 어떤 전기장치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 또는 다른 형태로 변하는 전기 에너지의 양을 말한다. 2. 송전과 배전 송전이란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 송전 선..

공학/전기전자 2021.12.23

전기 저항과 전압강하란?

1. 저항 전자가 물질 속을 이동할 때에 물질 내의 원자와 충돌하여 저항을 받는다. 이 저항은 물질이 지니고 있는 자유 전자의 수나 원자핵의 구조, 물질의 형상 또는 온도에 따라서 변화한다. 이와 같이 물질 속에 전류가 흐르기 쉬운지 어려운지 그 정도를 표시하는 것을 전기 저항이라고 한다. 저항의 종류에는 전선의 전기 저항도 있으나 전구나 전동기 등의 부하에도 그 나름대로의 저항을 지니고 있다.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이므로 전선의 저항이 크면 부하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여 충분한 전기를 공급하지 못하므로 전선의 저항은 작아야 한다. 전기는 전압이 같더라도 전선의 단면적이 적으면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하고 전선의 단면적이 크면 전류가 잘 흐르게 되는데, 이것은 전선의 저항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

공학/전기전자 2021.12.22

전류란 무엇일까?

1. 전류의 정의 전류는 전위차에 의해 전자의 이동에 따른 전하의 흐름을 일컫는 말이다. 도체의 단면적을 통하여 자유전자가 이동할 때 전류가 흐른다고 말한다. 전자는 음전하가 양전하 쪽으로 이동하나 전류는 (+)에서 (-)로 흐른다고 약속하여 사실과는 반대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착오 없도록 주의한다. 2. 전류의 단위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1초 동안 도선의 단위 단면적을 통과하는 전하의 양을 나타내며 단위는 암페어를 사용한다. 즉, 1 [A]는 도체 내의 임의의 한 점을 1 [C]의 전하가 통과할 때 1 [A]의 전류가 흘렀다고 정의한다. * 쿨롱의 법칙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전하의 크기의 곱에 비례하고 전하 사이의 거리에 곱에 반비례한다. 어떤 물체가 대전되어 전하가 생기면 공간에 전기의..

공학/전기전자 2021.12.21

전기의 기초

1. 원자의 구조 원자의 구조는 중심에 핵이 있고 그 둘레에 음전기를 가진 전자가 유성이 태양의 궤도를 돌듯이 빙빙 돌고 있다고 가정한다. 원자핵은 (+)의 양성자와 (0)의 중성자로 되어 있는데 원자핵의 질량은 전자보다 무거워 원자의 중심이 된다. 전자가 돌고 있는 길을 궤도라 하고 순서대로 2, 4, 8 등의 배열을 갖는다. 전자가 많아질수록 궤도는 증가하고 바깥쪽 궤도의 전자들은 핵에서 멀어져 약한 핵력으로 인해 이탈이 쉬워진다. 2. 전자의 크기와 중성 상태 전자의 크기는 대단히 작으며 그 질량은 9.1091x10의 -31승 [kg]이고, 양자 및 중성자는 전자 질량의 1840배이다. 물질은 원자핵이 가진 양전기와 전자가 가진 음전기의 양이 같기 때문에 서로 상쇄되어 전기적 성질을 띠지 않는 상태..

공학/전기전자 2021.12.20